새로고침 활동 가이드북
  • Chapter 1. 왜 고쳐야 하는가
    • 핸드북을 쓴 이유
    • 자가 수리 문화
    • 계획적 진부화 또는 구식화
  • Chapter 2. 수리에 필요한 공구와 기술
    • 분해와 조립
    • 잡거나 변형
    • 크기를 측정하기
    • 자르기
    • 정돈하기
    • 접착하기
    • 성형하기
  • 생활용품 수리
    • 알고리즘으로 보는 생활용품 수리
    • 플라스틱 물건 고치기
      • 부품이 부서진 경우, 부품을 잃어버린 경우
      • 균열이 있거나 헐거워진 경우
    • 금속 물건 고치기
      • 부러지거나 금이 간 경우
      • 휘어진 경우
      • 고정이 되지 않아 흔들리는 경우
      • 뻑뻑하거나 움직일 때 소리가 나는 경우
      • 철망에 구멍이 난 경우
    • 나무 물건 고치기
      • 목재의 종류
      • 나무를 다루는 방법
        • 나무를 고정하는 법
          • 피스(나사)
          • 목공용 본드
          • 타카
        • 나무를 다듬는 법
        • 나무에 색을 입히는 법
        • 나무 제품의 유지보수
      • 자주 수리하는 목재 제품의 수리 방법
  • 전자제품 수리
    • 전기에 대한 기본 지식
    • 전자제품의 수리기술
    • 전자제품의 수리방법
    • 일반적인 전자제품 고장의 원인
      • 수리 순서도
  • 의류 수선
    • 패션 산업의 문제
    • 의류 제품 기초
      • 섬유(fibers)
      • 원단(textiles)
      • 재봉
      • 다양한 바느질 방법
    • 의류 수선 기술
    • 의류의 관리
      • 세탁
      • 얼룩
  • 지속가능한 수리문화를 위해
    • 수리 워크샵 준비하기
    • 마무리: 작은 변화에서 시작하는 큰 움직임
    • Page
Powered by GitBook
On this page
  1. 생활용품 수리
  2. 나무 물건 고치기
  3. 나무를 다루는 방법

나무에 색을 입히는 법

스테인

스테인은 나무에 색을 입히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스테인은 나무의 결을 살리면서 색을 입혀, 나무 본연의 자연스러운 미감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스테인은 대체로 수성, 유성 두 가지 종류로 나뉘며, 수성 스테인은 비교적 냄새가 적고 빠르게 마르는 반면, 유성 스테인은 내구성이 더 높고 깊은 색상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스테인을 사용할 때는 나무의 표면을 깨끗이 준비한 후, 브러시나 천으로 얇게 발라줍니다. 이후 필요에 따라 여러 번 덧칠하여 원하는 색상을 얻을 수 있습니다.

바니쉬

바니쉬는 나무의 표면을 보호하고 광택을 내기 위해 사용하는 투명 코팅제입니다. 스테인을 사용하여 색을 입힌 후, 바니쉬를 덧발라 나무를 보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바니쉬는 물과 먼지, 기름 등으로부터 나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제품을 사용할 경우 나무의 색이 변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바니쉬를 바를 때는 나무의 결을 따라 얇게 펴바르며, 여러 겹을 바를 때는 각 층이 완전히 마른 후에 다음 층을 바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페인트

페인트는 나무의 결을 덮어 표면을 매끄럽고 선명한 색으로 마감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나무의 자연스러운 결을 보이지 않게 하고 싶거나, 특정 색상을 입히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페인트는 나무를 보호하는 동시에 미적 효과를 주지만, 스테인과 바니쉬와 달리 나무의 결을 가리게 됩니다. 페인트 작업 전에는 프라이머를 사용해 나무 표면을 준비하고, 나무에 페인트가 잘 붙을 수 있도록 합니다. 페인트를 여러 겹 바를 경우 각 층이 마른 후에 다음 층을 바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Previous나무를 다듬는 법Next나무 제품의 유지보수

Last updated 6 months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