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고침 활동 가이드북
  • Chapter 1. 왜 고쳐야 하는가
    • 핸드북을 쓴 이유
    • 자가 수리 문화
    • 계획적 진부화 또는 구식화
  • Chapter 2. 수리에 필요한 공구와 기술
    • 분해와 조립
    • 잡거나 변형
    • 크기를 측정하기
    • 자르기
    • 정돈하기
    • 접착하기
    • 성형하기
  • 생활용품 수리
    • 알고리즘으로 보는 생활용품 수리
    • 플라스틱 물건 고치기
      • 부품이 부서진 경우, 부품을 잃어버린 경우
      • 균열이 있거나 헐거워진 경우
    • 금속 물건 고치기
      • 부러지거나 금이 간 경우
      • 휘어진 경우
      • 고정이 되지 않아 흔들리는 경우
      • 뻑뻑하거나 움직일 때 소리가 나는 경우
      • 철망에 구멍이 난 경우
    • 나무 물건 고치기
      • 목재의 종류
      • 나무를 다루는 방법
        • 나무를 고정하는 법
          • 피스(나사)
          • 목공용 본드
          • 타카
        • 나무를 다듬는 법
        • 나무에 색을 입히는 법
        • 나무 제품의 유지보수
      • 자주 수리하는 목재 제품의 수리 방법
  • 전자제품 수리
    • 전기에 대한 기본 지식
    • 전자제품의 수리기술
    • 전자제품의 수리방법
    • 일반적인 전자제품 고장의 원인
      • 수리 순서도
  • 의류 수선
    • 패션 산업의 문제
    • 의류 제품 기초
      • 섬유(fibers)
      • 원단(textiles)
      • 재봉
      • 다양한 바느질 방법
    • 의류 수선 기술
    • 의류의 관리
      • 세탁
      • 얼룩
  • 지속가능한 수리문화를 위해
    • 수리 워크샵 준비하기
    • 마무리: 작은 변화에서 시작하는 큰 움직임
    • Page
Powered by GitBook
On this page
  1. Chapter 1. 왜 고쳐야 하는가

계획적 진부화 또는 구식화

Previous자가 수리 문화NextChapter 2. 수리에 필요한 공구와 기술

Last updated 6 months ago

계획적 진부화(Planned Obsolescence)란 계획적 노후화라고도 불립니다. 의도적으로 제한된 수명을 가진 제품을 만들고 일정 기간이 지나면 기능적 또는 심리적으로 그 제품을 더 이상 쓸 수 없게 만들어 버리는 기업들의 전략입니다. 기업의 존재 목적인 이익의 실현 측면에서 지속적인 소비는 필요하지만, 필요 이상으로 대부분 물건이 생산되는 현재 상황에서 계획적 진부화는 사회적/환경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강력하게 미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배터리 게이트' 사건이 있습니다. 이 사건에서 제조사는 배터리 사용 기간에 따라 스마트폰의 CPU 성능을 의도적으로 낮추어 사용자들이 새로운 기기를 구매하도록 유도했습니다. 또 다른 사례로는 잉크젯 프린터의 출력 횟수 제한(잉크패드 카운터)과 수리를 어렵게 만들어 전체 교체를 요구하는 리퍼 정책, 그리고 빠르게 유행이 지나가는 저렴한 의류를 판매하는 SPA 브랜드의 마케팅 전략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계획적 진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물건을 쉽게 버리고 새로 사기보다는, 가능한 한 오래 사용하고 수리하는 생활 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물건을 직접 고쳐 사용함으로써 우리는 이러한 소비 구조를 개선하고, 환경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계획적으로 진부화된 제품을 덜 소비하는 것이 이 문제를 해결하는 중요한 방법입니다.

  • 더 알아보기 : 다큐멘터리, 계획적 진부화를 설명하는

전구음모이론
유튜브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