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고침 활동 가이드북
  • Chapter 1. 왜 고쳐야 하는가
    • 핸드북을 쓴 이유
    • 자가 수리 문화
    • 계획적 진부화 또는 구식화
  • Chapter 2. 수리에 필요한 공구와 기술
    • 분해와 조립
    • 잡거나 변형
    • 크기를 측정하기
    • 자르기
    • 정돈하기
    • 접착하기
    • 성형하기
  • 생활용품 수리
    • 알고리즘으로 보는 생활용품 수리
    • 플라스틱 물건 고치기
      • 부품이 부서진 경우, 부품을 잃어버린 경우
      • 균열이 있거나 헐거워진 경우
    • 금속 물건 고치기
      • 부러지거나 금이 간 경우
      • 휘어진 경우
      • 고정이 되지 않아 흔들리는 경우
      • 뻑뻑하거나 움직일 때 소리가 나는 경우
      • 철망에 구멍이 난 경우
    • 나무 물건 고치기
      • 목재의 종류
      • 나무를 다루는 방법
        • 나무를 고정하는 법
          • 피스(나사)
          • 목공용 본드
          • 타카
        • 나무를 다듬는 법
        • 나무에 색을 입히는 법
        • 나무 제품의 유지보수
      • 자주 수리하는 목재 제품의 수리 방법
  • 전자제품 수리
    • 전기에 대한 기본 지식
    • 전자제품의 수리기술
    • 전자제품의 수리방법
    • 일반적인 전자제품 고장의 원인
      • 수리 순서도
  • 의류 수선
    • 패션 산업의 문제
    • 의류 제품 기초
      • 섬유(fibers)
      • 원단(textiles)
      • 재봉
      • 다양한 바느질 방법
    • 의류 수선 기술
    • 의류의 관리
      • 세탁
      • 얼룩
  • 지속가능한 수리문화를 위해
    • 수리 워크샵 준비하기
    • 마무리: 작은 변화에서 시작하는 큰 움직임
    • Page
Powered by GitBook
On this page
  1. Chapter 1. 왜 고쳐야 하는가

자가 수리 문화

Previous핸드북을 쓴 이유Next계획적 진부화 또는 구식화

Last updated 6 months ago

현대 사회에서는 고장이 나면 쉽게 물건을 버리고 새로 구 입하는 ‘일회용 문화’가 널리 퍼져 있습니다. 이러한 문화 는 자원의 낭비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환경 오염의 주요 원 인 중 하나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자가 수리 문화’ 를 제안합니다. 자가 수리는 물건을 고쳐 사용함으로써 자 원을 절약하고, 물건에 대한 애정과 존중을 높이는 행위입니다. 이는 개인의 삶의 방식을 변화시키는 데 그치지 않고, 지속 가능한 사회로 나아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저희 ‘재작소(再作所)’는 이러한 고쳐쓰기 문화를 지역 사 회에서 확산시키기 위해 여러 가지 활동을 진행하고 있습 니다. 이곳에서는 사람들이 고장 난 물건을 가져와 수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서로의 경험을 나누며 자가 수 리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또한 네덜란 드에서 시작되어 유럽 전역으로 퍼진 ‘리페어 카페’는 자가 수리 문화를 실천하는 훌륭한 사례입니다. 이곳에서는 누 구나 자신의 고장 난 물건을 가져와 수리할 수 있으며, 전 문가와 비전문가가 함께 모여 지식을 나누고 다양한 수리 활동을 진행하는 공동체 활동입니다. 이런 활동은 개인이 혼자서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를 보다 쉽게 극복할 수 있도 록 도와주며, 자가 수리 문화를 지속적으로 실천할 수 있 는 기반을 제공합니다.

혼자서 수리하는 것이 부담스럽거나 어렵게 느껴진다면, 저희의 활동을 참고해 주세요. 자가 수리 문화를 만들어 가기 위해 노력하는 많은 이들과 함께, 여러분의 경험을 나누고 싶습니다.

  • 더 알아보기 : , 홈페이지

리페어카페
재작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