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고침 활동 가이드북
  • Chapter 1. 왜 고쳐야 하는가
    • 핸드북을 쓴 이유
    • 자가 수리 문화
    • 계획적 진부화 또는 구식화
  • Chapter 2. 수리에 필요한 공구와 기술
    • 분해와 조립
    • 잡거나 변형
    • 크기를 측정하기
    • 자르기
    • 정돈하기
    • 접착하기
    • 성형하기
  • 생활용품 수리
    • 알고리즘으로 보는 생활용품 수리
    • 플라스틱 물건 고치기
      • 부품이 부서진 경우, 부품을 잃어버린 경우
      • 균열이 있거나 헐거워진 경우
    • 금속 물건 고치기
      • 부러지거나 금이 간 경우
      • 휘어진 경우
      • 고정이 되지 않아 흔들리는 경우
      • 뻑뻑하거나 움직일 때 소리가 나는 경우
      • 철망에 구멍이 난 경우
    • 나무 물건 고치기
      • 목재의 종류
      • 나무를 다루는 방법
        • 나무를 고정하는 법
          • 피스(나사)
          • 목공용 본드
          • 타카
        • 나무를 다듬는 법
        • 나무에 색을 입히는 법
        • 나무 제품의 유지보수
      • 자주 수리하는 목재 제품의 수리 방법
  • 전자제품 수리
    • 전기에 대한 기본 지식
    • 전자제품의 수리기술
    • 전자제품의 수리방법
    • 일반적인 전자제품 고장의 원인
      • 수리 순서도
  • 의류 수선
    • 패션 산업의 문제
    • 의류 제품 기초
      • 섬유(fibers)
      • 원단(textiles)
      • 재봉
      • 다양한 바느질 방법
    • 의류 수선 기술
    • 의류의 관리
      • 세탁
      • 얼룩
  • 지속가능한 수리문화를 위해
    • 수리 워크샵 준비하기
    • 마무리: 작은 변화에서 시작하는 큰 움직임
    • Page
Powered by GitBook
On this page
  1. 의류 수선
  2. 의류 제품 기초

원단(textiles)

원단은 모든 의류의 원료가 되는 천, 옷감을 말합니다. 원단은 섬유로 만들어진 실을 통해 (혹은, 섬유 그 차제로) 다양한 방식으로 만들어진 천의 모습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원단이 어떠한 다양한 방식으로 만들어져, 고유의 특징이 나타나는지 알아봅니다.

니트 (편물)

니트는 뜨개질 도구나 편직 기계를 사용해서 떠서 만드는 옷이나 원단을 말합니다. 니트 직물은 실이 고리형태로 서로 걸려 고정되는 모양으로 만들어집니다. 이러한 고리 구조로 인해 여러 방향으로 쉽게 늘어날 수 있으며, 신축성이 높은 것이 특징입니다. 실의 두께와 뜨개질 패턴에 따라 니트 의류는 최대 600%까지 늘어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니트는 운동복과 같이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신축성이 필요한 의복에 자주 사용됩니다.

하지만 단점으로는 하나의 고리가 끊어지면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올이 계속 풀릴 수 있습니다. 니트 의류를 수리할 때는 먼저 끊어진 고리를 고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시 의류: 스웨터, 티셔츠, 운동복, 레깅스

우븐 (직물)

직물이란 날실(경사, Warp)과 씨실(위사,Weft)을 직각으로 교차시켜 짠 원단을 말합니다. 직물에는 다양한 직조 방법이 있습니다. 가장 기본적인 직조 패턴은 씨실과 날실이 한 올씩 교대로 짜인 ‘평직’입니다. 직조 패턴은 씨실이 날실의 위, 아래를 몇 번 교대로 교차하여 지나가는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청바지 같은 경우에서 한 올 혹은 두올 이상의 올이 교대로 교차하여 대각선으로 날실의 무늬가 드러나는 ‘능직’ 패턴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블라우스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새틴과 같은 ‘수자직’이 있으며, 코듀로이와 같이 직조할 때 수건의 표면과 같은 파일 조직을 만든 후 깎아서 잔털을 만드는 ‘파일직’과 같이 다양한 변형을 만들 수 있습니다.

직조 직물은 직기에서 만들어집니다. 직기에 날실을 걸어서 씨실을 통과하며 만들기 때문에,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잘 늘어나지 않는 특징이 있습니다. 하지만 대각선 방향으로는 잘 늘어나며, 직물에 엘라스틴 원사가 추가되면 사방으로 잘 늘어나는 직물이 될 수 있습니다. 실이 끊어지는 경우 일반적으로 수직, 수평 방향으로 풀리게 됩니다.

예시 의류: 청바지, 블라우스, 셔츠, 코듀로이 팬츠

펠트

펠트와 부직포는 실을 거치지 않고 섬유나 필라멘트로부터 바로 화학적, 열적 또는 기계적 처리로 바로 직물로 만들어집니다. 직물의 방향성과 결이 없는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가장자리가 풀리지 않으며, 원하는 모양으로 성형도 가능하여 다양한 형상의 의류 제품을 만듭니다. 또한 충격을 잘 흡수하고 흡음, 단열 기능이 있어 의류뿐만 아니라 공업용, 산업용으로도 두루 이용됩니다.

예시 의류: 모자, 코트, 가방 등

가죽 및 대체 가죽

가죽은 가축(양, 염소, 소, 돼지 등), 야생 동물(사슴 등), 파충류 동물(뱀, 악어 등) 및 물고기(가오리, 상어)의 피부입니다. 원시 시대부터 수렵과 사육을 통해 사용된 대표적인 의복 소재이지만, 현대에는 가죽의 95%가 육류 산업의 부산물로부터 활용됩니다.

가죽의 생산 과정은 많은 노동력과 화학 물질이 필요합니다. 또한 동물 복지와 같은 사회 문제가 증가함에 따라 대안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떠오르고 있는 대안들은, PU가죽, 코코넛 가죽, 파인애플 가죽, 버섯 가죽, 코르크 가죽, 선인장 가죽 등과 같은 인조가죽들입니다. 이들 가죽 중 일부는 비건 가죽이라는 표현으로 마케팅되기도 하며, 환경친화적인지 내구성이 높은지 등을 기존 가죽과 비교하여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예시 의류: 가죽 재킷, 가죽 가방, 가죽 신발, 가죽 벨트

모피

모피는 털이 붙어있는 가죽으로서, 인류는 추위를 막기 위해 다양한 동물의 모피를 사용해 왔습니다. 모피로 사용된 동물로는 양, 토끼, 밍크, 여우, 늑대, 물개, 족제비, 너구리, 다람쥐 등이 있습니다. 대개 추운 기후에서 필요에 따라 착용되었지만, 섬유의 발전으로 인해 모피는 대부분 부의 상징으로써 사용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가죽과 함께 모피도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플라스틱으로 만든 다양한 인조 모피가 등장하고 있습니다.

예시 의류: 모피 코트, 모피 모자, 모피 장갑, 모피 목도리

Previous섬유(fibers)Next재봉

Last updated 6 months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