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고침 활동 가이드북
  • Chapter 1. 왜 고쳐야 하는가
    • 핸드북을 쓴 이유
    • 자가 수리 문화
    • 계획적 진부화 또는 구식화
  • Chapter 2. 수리에 필요한 공구와 기술
    • 분해와 조립
    • 잡거나 변형
    • 크기를 측정하기
    • 자르기
    • 정돈하기
    • 접착하기
    • 성형하기
  • 생활용품 수리
    • 알고리즘으로 보는 생활용품 수리
    • 플라스틱 물건 고치기
      • 부품이 부서진 경우, 부품을 잃어버린 경우
      • 균열이 있거나 헐거워진 경우
    • 금속 물건 고치기
      • 부러지거나 금이 간 경우
      • 휘어진 경우
      • 고정이 되지 않아 흔들리는 경우
      • 뻑뻑하거나 움직일 때 소리가 나는 경우
      • 철망에 구멍이 난 경우
    • 나무 물건 고치기
      • 목재의 종류
      • 나무를 다루는 방법
        • 나무를 고정하는 법
          • 피스(나사)
          • 목공용 본드
          • 타카
        • 나무를 다듬는 법
        • 나무에 색을 입히는 법
        • 나무 제품의 유지보수
      • 자주 수리하는 목재 제품의 수리 방법
  • 전자제품 수리
    • 전기에 대한 기본 지식
    • 전자제품의 수리기술
    • 전자제품의 수리방법
    • 일반적인 전자제품 고장의 원인
      • 수리 순서도
  • 의류 수선
    • 패션 산업의 문제
    • 의류 제품 기초
      • 섬유(fibers)
      • 원단(textiles)
      • 재봉
      • 다양한 바느질 방법
    • 의류 수선 기술
    • 의류의 관리
      • 세탁
      • 얼룩
  • 지속가능한 수리문화를 위해
    • 수리 워크샵 준비하기
    • 마무리: 작은 변화에서 시작하는 큰 움직임
    • Page
Powered by GitBook
On this page
  1. 전자제품 수리

일반적인 전자제품 고장의 원인

전자제품 수리 활동하면서 대부분의 고장이 몇가지 범주 내에서 일어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중에서 가장 자주 접하는 문제는 배터리입니다. 실제로 전자제품 고장의 절반 이상이 배터리에서 비롯되는데, 간단히 건전지만 교체해도 제대로 작동하는 경우가 상당수입니다. 우리가 느낀 점은, 생각보다 많은 전자제품 고장이 단순한 원인으로 발생하며, 복잡해 보이는 고

단선/단락

전자제품 내부의 회로는 전류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를 장애물 달리기와 비유할 수 있는데, 이때 전선은 트랙, 저항은 장애물과 같습니다. 전류가 통과해야 할 길이 막혀버리면, 이를 단선이나 단락이라고 합니다.

단선은 물리적인 힘으로 전선이 끊어지거나, 잦은 움직임으로 인해 전선이 마모되어 끊어지는 경우를 말합니다. 단락은 부품이 회로에서 떨어져 나가거나, 잘못된 배선으로 인해 전기가 다른 경로로 흐르며 회로를 합선시키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 경우, 전류는 원하는 경로를 벗어나기 때문에 전자제품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단선이 발생한 부분을 찾아 전선을 다시 연결하거나, 단락된 부품을 다시 고정하여 회로를 복구해야 합니다.

접촉 불량

접촉 불량은 전자제품 수리에서 자주 접하는 문제 중 하나입니다. 부품과 기판이 제대로 접촉되지 않아 발생하는 이 문제는 단선이나 단락과 유사한 증상을 보이기도 합니다.

전자제품 내부에 먼지가 쌓이거나 부식되거나 조금씩 손상되면 부품 간의 접촉이 약해져 전기가 불규칙적으로 흐르게 됩니다. 이는 제품이 켜졌다 꺼지거나, 특정 기능이 간헐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등 불규칙한 동작을 초래합니다. 특히, 오래된 전자제품에서 이러한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부품과 기판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접촉 부위를 청소하거나 접촉 불량이 발생한 부품을 교체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배터리의 노후화

배터리의 노후화는 전자제품의 성능 저하와 관련된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입니다. 배터리는 반복적인 충전과 방전을 통해 수명이 점차 감소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충전 용량이 줄어들고 방전 속도가 빨라집니다.

일반적인 AA, AAA 배터리와 같은 규격의 건전지는 쉽게 교체할 수 있지만, 리튬이온 배터리와 같은 충전식 배터리는 교체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소형 전자제품은 리튬이온 배터리를 대부분 사용하며, 3.7v의 전압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크기가 제품마다 다르므로 적합한 전압과 크기를 가진 제품을 찾아 구매해야 합니다.

조금 더 큰 제품에서 사용하는 리튬 이온 배터리의 경우에는 잦은 사용으로 배터리가 부풀어 오르는 일도 있습니다. 이런 증상을 배터리 스웰링이라고 부르며 이 경우에는 배터리를 반드시 교체해야 합니다. 교체하지 않으면 내부의 기판에 계속 압력을 가해 제품에 손상을 줄 수도 있습니다.

녹

녹은 습기나 물이 전자제품 내부에 들어가 금속 부품을 부식시켜 발생합니다. 녹이 발생하면 전자제품의 전기적 연결이 약화되어 접촉 불량을 유발하거나 회로가 끊어질 수 있습니다. 특히 습한 환경에 자주 노출되는 전자제품에서 녹이 발생할 가능성이 큽니다. 녹이 발생한 부품이나 기판은 전기적 연결을 방해하므로 제품이 작동하지 않거나, 작동이 불안정해질 수 있습니다. 녹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방청제와 쇠솔 등을 사용하여 부식된 부분을 청소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심하게 부식된 경우에는 부품을 교체하는 것이 더 나은 방법일 수 있습니다.

부품의 고장

전자제품을 구성하는 소자나 센서 등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입니다. 부품의 노후화, 충격으로 인한 손상, 제조상의 결함 등 원인은 다양합니다.

부품의 고장을 진단하는 방법으로는 시각적으로 타거나 손상된 흔적을 확인하는 것, 타는 냄새나 불쾌한 냄새를 탐지하는 것, 평소와 다른 이상한 소리를 감지하는 것 등이 있습니다. 이런 징후가 발견되면, 문제가 있는 부품을 찾아 수리를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방법으로 의심되는 부품을 찾기 어렵다면 멀티미터를 사용해야 합니다. 전원을 인가하고 전기가 통하지 않는 부품을 멀티미터의 전기적 연결 여부를 체크하는 도통 기능을 사용해 찾아볼 수 있습니다.

대부분 전자제품에서 일어나는 부품의 고장들은 비슷한 경우가 많습니다. 선풍기를 오래 사용하다 보면 콘덴서가 노후화되어 느려진다든지, 무선 청소기의 배터리가 오래되어 출력이 약해지는 것이 그 예입니다. 그래서 부품의 고장이 의심되면 다른 이들은 어떻게 이 문제를 해결했는지 인터넷 검색을 해보는 것이 큰 도움이 됩니다.

Previous전자제품의 수리방법Next수리 순서도

Last updated 6 months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