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고침 활동 가이드북
  • Chapter 1. 왜 고쳐야 하는가
    • 핸드북을 쓴 이유
    • 자가 수리 문화
    • 계획적 진부화 또는 구식화
  • Chapter 2. 수리에 필요한 공구와 기술
    • 분해와 조립
    • 잡거나 변형
    • 크기를 측정하기
    • 자르기
    • 정돈하기
    • 접착하기
    • 성형하기
  • 생활용품 수리
    • 알고리즘으로 보는 생활용품 수리
    • 플라스틱 물건 고치기
      • 부품이 부서진 경우, 부품을 잃어버린 경우
      • 균열이 있거나 헐거워진 경우
    • 금속 물건 고치기
      • 부러지거나 금이 간 경우
      • 휘어진 경우
      • 고정이 되지 않아 흔들리는 경우
      • 뻑뻑하거나 움직일 때 소리가 나는 경우
      • 철망에 구멍이 난 경우
    • 나무 물건 고치기
      • 목재의 종류
      • 나무를 다루는 방법
        • 나무를 고정하는 법
          • 피스(나사)
          • 목공용 본드
          • 타카
        • 나무를 다듬는 법
        • 나무에 색을 입히는 법
        • 나무 제품의 유지보수
      • 자주 수리하는 목재 제품의 수리 방법
  • 전자제품 수리
    • 전기에 대한 기본 지식
    • 전자제품의 수리기술
    • 전자제품의 수리방법
    • 일반적인 전자제품 고장의 원인
      • 수리 순서도
  • 의류 수선
    • 패션 산업의 문제
    • 의류 제품 기초
      • 섬유(fibers)
      • 원단(textiles)
      • 재봉
      • 다양한 바느질 방법
    • 의류 수선 기술
    • 의류의 관리
      • 세탁
      • 얼룩
  • 지속가능한 수리문화를 위해
    • 수리 워크샵 준비하기
    • 마무리: 작은 변화에서 시작하는 큰 움직임
    • Page
Powered by GitBook
On this page
  1. 의류 수선

패션 산업의 문제

패션 산업은 노동 착취, 환경 오염, 과잉 생산으로 인한 낭비 등 많은 문제로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들이 단순한 방법으로 해결되지 않는 이유는 패션 산업의 복잡한 글로벌 공급망과 지속적인 소비자들의 소비 요구가 얽혀있기 때문입니다.

의류 생산은 주로 개발 도상국에서 이루어지는데, 선진국에서 제품을 직접 생산하는 것보다 훨씬 비용적으로 저렴하기 때문입니다. 보통 개발도상국에서 생산하여 선진국으로 제품들을 이동하여 판매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생산 과정에서 낮은 임금과 환경 규제의 한계로 인해 노동 착취와 환경 오염과 같은 사회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패션 기업들은 지속적으로 새로운 제품을 출시하고 광고하며 트랜드를 만들기 위해 노력합니다. 이는 소비자들이 이미 충분한 옷을 가지고 있어 추가적인 옷 구매가 필요하지 않거나, 기존에 구매한 의류 제품들이 기능적이나 사용상에 문제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단지 소비자들이 심리적으로 트렌드를 따라가지 않으면 안될 것 같은 불안한 마음을 유발하게 만드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패션 기업들의 패스트 패션 문화 형성은 더 많은 옷을 소비자들이 빠르게 소비하게 하기 위한, 더 자주 옷을 구매하고, 더 자주 버리도록 만들고 있습니다.

따라서, 여전히 사용 가능한 멀쩡한 많은 옷들은 의류수거함에 기부되거나 버려지고 있습니다. 기부된 옷들은 선진국의 중고 가게에서 재고 과잉 상태가 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낮은 품질들의 옷들은 개발 도상국으로 보내져 현지의 의류 생산 시장, 유통 시장 등을 어지럽히고 있습니다.

또한, 옷의 대부분은 단일재질이 아닌 복합재질, 재활용 불가능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재활용도 어려워 문제가 가속화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의 심각성을 파악하는 패션 브랜드들은 지속 가능한 생산과 재활용을 위한 다방면의 노력을 하고 있지만, 여전히 더 많은 옷만을 팔기 위해 존재하는 패션 산업들이 존재합니다.

실제로 우리는 이미 옷장에 앞으로 10년 동안도 더 입을 수 있는 옷을 충분히 가지고 있을 것입니다. 따라서 더 많은 옷을 생산하고 소비하는 대신, 귀중한 옷을 더 오래 보관하고 재사용하며 적절하게 관리하는 것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Previous의류 수선Next의류 제품 기초

Last updated 6 months ago